All
![](https://tistory1.daumcdn.net/tistory/3211355/skin/images/no-image.jpg)
문제 정렬된 두 묶음의 숫자 카드가 있다고 하자. 각 묶음의 카드의 수를 A, B라 하면 보통 두 묶음을 합쳐서 하나로 만드는 데에는 A+B 번의 비교를 해야 한다. 이를테면, 20장의 숫자 카드 묶음과 30장의 숫자 카드 묶음을 합치려면 50번의 비교가 필요하다. 매우 많은 숫자 카드 묶음이 책상 위에 놓여 있다. 이들을 두 묶음씩 골라 서로 합쳐나간다면, 고르는 순서에 따라서 비교 횟수가 매우 달라진다. 예를 들어 10장, 20장, 40장의 묶음이 있다면 10장과 20장을 합친 뒤, 합친 30장 묶음과 40장을 합친다면 (10+20)+(30+40) = 100번의 비교가 필요하다. 그러나 10장과 40장을 합친 뒤, 합친 50장 묶음과 20장을 합친다면 (10+40)+(50+20) = 120 번의 비교..
![](https://tistory1.daumcdn.net/tistory/3211355/skin/images/no-image.jpg)
문제 국가의 역할 중 하나는 여러 지방의 예산요청을 심사하여 국가의 예산을 분배하는 것이다. 국가예산의 총액은 미리 정해져 있어서 모든 예산요청을 배정해 주기는 어려울 수도 있다. 그래서 정해진 총액 이하에서 가능한 한 최대의 총 예산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배정한다. 모든 요청이 배정될 수 있는 경우에는 요청한 금액을 그대로 배정한다. 모든 요청이 배정될 수 없는 경우에는 특정한 정수 상한액을 계산하여 그 이상인 예산요청에는 모두 상한액을 배정한다. 상한액 이하의 예산요청에 대해서는 요청한 금액을 그대로 배정한다. 예를 들어, 전체 국가예산이 485이고 4개 지방의 예산요청이 각각 120, 110, 140, 150이라고 하자. 이 경우, 상한액을 127로 잡으면, 위의 요청들에 대해서 각각 120, 1..
![](https://tistory1.daumcdn.net/tistory/3211355/skin/images/no-image.jpg)
문제 아래 과 같이 정사각형 칸들로 이루어진 사각형 모양의 판이 있고, 그 위에 얇은 치즈(회색으로 표시된 부분)가 놓여 있다. 판의 가장자리(에서 네모 칸에 X친 부분)에는 치즈가 놓여 있지 않으며 치즈에는 하나 이상의 구멍이 있을 수 있다. 이 치즈를 공기 중에 놓으면 녹게 되는데 공기와 접촉된 칸은 한 시간이 지나면 녹아 없어진다. 치즈의 구멍 속에는 공기가 없지만 구멍을 둘러싼 치즈가 녹아서 구멍이 열리면 구멍 속으로 공기가 들어가게 된다. 의 경우, 치즈의 구멍을 둘러싼 치즈는 녹지 않고 ‘c’로 표시된 부분만 한 시간 후에 녹아 없어져서 와 같이 된다. 다시 한 시간 후에는 에서 ‘c’로 표시된 부분이 녹아 없어져서 과 같이 된다. 은 원래 치즈의 두 시간 후 모양을 나타내고 있으며, 남은 조..
![](https://tistory1.daumcdn.net/tistory/3211355/skin/images/no-image.jpg)
문제 이번 가을학기에 '문제 해결' 강의를 신청한 학생들은 텀 프로젝트를 수행해야 한다. 프로젝트 팀원 수에는 제한이 없다. 심지어 모든 학생들이 동일한 팀의 팀원인 경우와 같이 한 팀만 있을 수도 있다. 프로젝트 팀을 구성하기 위해, 모든 학생들은 프로젝트를 함께하고 싶은 학생을 선택해야 한다. (단, 단 한 명만 선택할 수 있다.) 혼자 하고 싶어하는 학생은 자기 자신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학생들이(s1, s2, ..., sr)이라 할 때, r=1이고 s1이 s1을 선택하는 경우나, s1이 s2를 선택하고, s2가 s3를 선택하고,..., sr-1이 sr을 선택하고, sr이 s1을 선택하는 경우에만 한 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반에 7명의 학생이 있다고 하자. 학생들을 ..
![](https://tistory1.daumcdn.net/tistory/3211355/skin/images/no-image.jpg)
문제 인성이는 인싸가 되기 위해서 인싸트 특별과정에 참가했다. 훈련 첫날 인성이는 험난한 미로에서 목적지에 도달해야 하는 훈련을 받고 있다. 제한 시간 안에 미로를 통과하지 못하면 명기 교관 님에게 욕을 듣기에 인성이는 최선을 다해 미로를 통과하려고 한다. 미로는 가로 길이 W, 세로 길이 H의 격자 형태를 가지며, 인성이는 한 번에 격자 상의 상, 하, 좌, 우로 한칸 씩 움직일 수 있다. 매 이동이 완료될 시에 인성이의 남은 힘은 1씩 감소하고, 남은 힘이 0이하인 경우에는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미로의 각 격자에는 장애물이 있는데, 각각의 장애물은 높이 정보를 가지고 있다. 장애물이 없는 위치는 전부 높이가 0 이다. 인성이가 이동할 때, 현재 위치보다 이동할 위치의 높이가 더 낮으면 아무..
![](http://i1.daumcdn.net/thumb/C400x400/?fname=https://blog.kakaocdn.net/dn/buiT71/btqJZm7kZwy/tbTIgk1oJo8E7ebukYm6l0/img.jpg)
![](https://tistory1.daumcdn.net/tistory/3211355/skin/images/no-image.jpg)
switch문 앞서 작성하였던 HonorGradingStrategy의 basicGradePointsFor 메서드는 switch문을 사용하여 아래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 private int basicGradePointsFor(Student.Grade grade) { switch (grade) { case A: return 4; case B: return 3; case C: return 2; case D: return 1; default: return 0; } } switch문에 인수로 주어지는 grade가 비교할 대상이 된다. 임의 개수의 case 레이블을 지정할 수 있다. 각 case와 일치할 경우 바로 뒤의 명령문을 실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생략된다. 일치하는 case가 없다면 default로 이동한..
![](https://tistory1.daumcdn.net/tistory/3211355/skin/images/no-image.jpg)
문제 유현이가 새 집으로 이사했다. 새 집의 크기는 N×N의 격자판으로 나타낼 수 있고, 1×1크기의 정사각형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각각의 칸은 (r, c)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r은 행의 번호, c는 열의 번호이고, 행과 열의 번호는 1부터 시작한다. 각각의 칸은 빈 칸이거나 벽이다. 오늘은 집 수리를 위해서 파이프 하나를 옮기려고 한다. 파이프는 아래와 같은 형태이고, 2개의 연속된 칸을 차지하는 크기이다. 파이프는 회전시킬 수 있으며, 아래와 같이 3가지 방향이 가능하다. 파이프는 매우 무겁기 때문에, 유현이는 파이프를 밀어서 이동시키려고 한다. 벽에는 새로운 벽지를 발랐기 때문에, 파이프가 벽을 긁으면 안 된다. 즉, 파이프는 항상 빈 칸만 차지해야 한다. 파이프를 밀 수 있는 방향은 총 ..
![](https://tistory1.daumcdn.net/tistory/3211355/skin/images/no-image.jpg)
문제 외판원 순회 문제는 영어로 Traveling Salesman problem (TSP) 라고 불리는 문제로 computer science 분야에서 가장 중요하게 취급되는 문제 중 하나이다. 여러 가지 변종 문제가 있으나, 여기서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문제를 살펴보자. 1번부터 N번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는 도시들이 있고, 도시들 사이에는 길이 있다. (길이 없을 수도 있다) 이제 한 외판원이 어느 한 도시에서 출발해 N개의 도시를 모두 거쳐 다시 원래의 도시로 돌아오는 순회 여행 경로를 계획하려고 한다. 단, 한 번 갔던 도시로는 다시 갈 수 없다. (맨 마지막에 여행을 출발했던 도시로 돌아오는 것은 예외) 이런 여행 경로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가장 적은 비용을 들이는 여행 계획을 세우고자..
![](https://tistory1.daumcdn.net/tistory/3211355/skin/images/no-image.jpg)
문제 n가지 종류의 동전이 있다. 이 동전들을 적당히 사용해서, 그 가치의 합이 k원이 되도록 하고 싶다. 그러면서 동전의 개수가 최소가 되도록 하려고 한다. 각각의 동전은 몇 개라도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한 동전의 구성이 같은데, 순서만 다른 것은 같은 경우이다. 입력 첫째 줄에 n, k가 주어진다. (1 ≤ n ≤ 100, 1 ≤ k ≤ 10,000) 다음 n개의 줄에는 각각의 동전의 가치가 주어진다. 동전의 가치는 1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가치가 같은 동전이 여러 번 주어질 수도 있다. 출력 첫째 줄에 사용한 동전의 최소 개수를 출력한다. 불가능한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3 15 1 5 12예제 출력 1 복사 3 나의 풀이 전형적인 냅색 알고리즘 문제이다. ..